[주]유한테크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가스 안전 사용요령
1. 사용 시설의 설치 기준
가정이나 요식업소등에서 가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가스 시공 자격을 가진자(시공업자)로 하여금 법에 정한 설치기준에 맞게 설치하여야 함.
1-1. LPG 용기보관
- 용기는 화기취급 정소(가정시설은 2M이상 유지)를 피하여 옥외에 보관하여야 한다.
- 용기는 직사광선을 받지 아니하도록 하며 불연재료로 보관실을 만들어 설치하고 부식방자를 위해 받침대위에 놓도록 한다.
-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체인이나 끈으로 고정하고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경계표시를 한다. (적색으로 화기금, 취급자외 접근금지표시)
- 용기는 다용도실, 주방, 지하도 (실)등 밀폐된 장소에 보관해서는 절대 안된다.
- 자기간 집을 비울 때는 반드시 용기밸브를 잠궈두도록 한다.
1-2. 연소기
- 가스연소기는 렌지, 주물버너, 휴대용버너,온수기등 종류가 다양하며 설치장소는 연소시 필요한 공기가 환기될 수 있는 곳으로 하고 주위에는 가연성물질(빨래, 에어플 등)을 두지 않도록 함.
1-3. 배관 및 중간밸브
- 배관은 외부에 누출되게 설치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야 한다.
- 호스는 3M이내로 짧게하고 "T'형으로 사용 연결해서는 안된다.
- 호스와 연결된 부분 (연소기, 중간밸브등)은 밴드로 꼭조여 가스 누설을 막도록 한다.
- 중간밸브는 연소기와 가까운 곳 즉 조작하기 쉬운 곳에 설치토록 한다.
1-4. 가스 누설 자동 차단기
- 가스누설 자동차단기는 가스누설시 자동으로 검지하여 경보음과 동시에 차단되는 것으로 제어부, 검지부, 차단부로 구성되어 있다.
- 제어부는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연소기 주위에 설치한다.
- 검지부는 연소기로 부터 수평거리 4M이내에 설치한다.(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는 천정면 30CM이내 설치,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는 바닥면에서 30cm이내 설치)
- 항상 가동될수 있도록 전기콘센트에 연결시켜 놓도록 한다.
1-5. 가스보일러와 순간온수기
- 가스보일러는 연소시에 다량의 공기가 필요하므로 목욕탕 등 환기가 불량한 장소에 설치하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생명을 잃을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환기가 양호한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 순간온수기는 식기세척 및 샤워등 단시간 온수필요시에만 사용한다.
- 순간온수기를 난방용으로 변경 사용함은 절대 금지한다.
2. 안전한 사용 방법
2-1. 사용전
- 가스가 새는 곳이 없는지 냄새가 나지 않는지 확인한다.
- LPG는 바닥으로 부터 냄새를 맡는다. LNC는 천정에서 냄새를 맡는다.
- 불쾌한 냄새가 나면 가스가 새고 있는 것이다
- 가스가 탈 때는 많은 양의 공기가 필요하므로 창문을 열어 신선한 공기로 충분히 실내를 환기시킨다.
- 가스렌지 주위에는 가연성물질(빨래,에어즐등)을 가까이 두지 말아야 한다.
2-2. 사용중
- 점화용 콕크 손잡이를 천천히 돌려 정화시키고 불이 붙었나 꼭 확인한다. (불이 붙지 않은 상태로 점화크가 열리면 생가스가 누설되어 폭발의 원인이 될수 있음)
- 파란불꽃이 되도록 공기조절기를 조절한다. 불완전연소시 유독성 일산화탄소가 나오고 연료 소비량도 많아진다.
-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으로 인해 불이 꺼지지 않았는지 옆에서 지켜보도록하고, 가능한 자리를 떠나지 말아야 한다.
2-3. 사용후
- 가스사용 후에는 연소기 콕크와 중간밸브를 꼭 잠근다.
- 기간 외출시에는 용기밸브도 잠그는 것이 안전하다, 도시가스의 경우는 메인밸브를 잠그고 도시가스관리사무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 가스렌지는 자주 이동하지 말고 한곳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2-4. 평소 점검 요령
- 비눗물이나 퐁퐁물등으로 배관, 호스등의 연결부분을 수시로 점검하여 누설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 가스렌지는 항상 깨끗이 청소하여 버너의 불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취침전에는 반드시 콕크와 중간밸브가 꼭 잠겨져 있는지 확인 하도록 한다.
- 미이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주의를 받드시 줄 것.
2-5. 휴대용 부탄 가스렌지 사용법
- 휴대용 가스렌지는 야외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 졌다. 부득이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밖에서 사용 시험을 한 후 이상이 없을때 사용하도록 한다.
- 다쓴 빈용기(캔)는 잔류가스를 제거한 후 구멍을 내어 화기가 없는 장소에 버리도록 한다.
- 용기(캔)를 접속할 때는 가이드의 요철부가 일직선이 되게하여 완전히 결합이 되게 한다.
- 사용중에 가스가 누설되었을 경우 신속히 연결레버를 위로 올려 용기(캔)을 분리시켜야 한다.
- 사용하는 그릇의 바닥이 삼발이보다 넓으면 화기가 가스용기(캔) 를 가열하게 되어 폭발의 원인이 되므로 삼발이보다 큰그릇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밀폐된 텐트안이나 좁은 방에서는 질식, 화재의 염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 실내에서 사용시는 반드시 환기를 해야하며 하지 않을 시는 일산화탄소가 발생하여 머리가 아프던지 좋지 못한 영향이 온다.
3. 가스누설시 응급조치
3-1. 가스공급을 차단하고 환기를
가스 냄새로 가스가 새는 것을 발견하면 먼저 연소기의 정화복과 중간밸브, 용기밸브를 잠궈서 가스공급을 차단하고. 창문과 출입문 등을 활짝 열어 누출된 가스를 밖으로 몰아내고 신선한 공기로 환기 시킵니다. LPG의 경우에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방바닥으로 가라앉으므로 침착히 빗자루 등으로 쓸어내듯 환기를 시켜야 합니다.
3-2. 전기기구 사용은 금물
이때, 급하다고 환풍기나 선풍기 등을 사용하면 스위치 조작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해서 정화되어 폭발할 가능 성이 있으므로 전기기구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3-3. 판매점 • 도시가스관리업소에 연락하여 조치
그리고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에서는 이웃에 알려서 도움을 받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도록 해야합니다. 이렇게 한 후, LPG 판매점이나 도시가스 관리대행업소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를 받고 안전함을 확인한 후, 다시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