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가스감지기 및 누액감지기 기술정보

누액감지기 적용 사례

 

 

 

1. 반도체/FPD 공장

p1.png

반도체 및 FDP 공장에서는 대량의 순수 약액을 사용합니다. 

이 경우, 누액 위치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복구하면 생산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가동률 향상)

 

 

 

 

2.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

p2.png

IDC에서는 설비의 유지 관리를 위해 항상 습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공기 조절기에서의 액체 누출 사고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시스템 유지-관리)

 

 

 

 

3. 전산 센터

p3.png

전산 센터에서는 설비의 유지 관리를 위해 항상 습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공기 조절기에서의 액체 누출사고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시스템 유지-관리)

 

 

 

 

4. 통신실

p4.png

통신실에서는 설비의 유지 관리를 위해 항상 습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공기 조절기에서의 액체 누출사고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정전에 대비하여 대용량 남 축전지의 전지 액 누출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유지-관리)

 

 

 

 

5. 화학 약품 공장

p5.png

화학 약품 공장의 경우, 지하의 토양 오염과 공장 외부에 미치는 약액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기업의 위험 관리)

 

 

 

 

6. 공공시설(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p6.png

공공시설에는 일반적으로 화재 방지를 위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지진에 의한 스프링클러 파손에 따른 2차 피해를 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설비보호)

 

 

 

 

7. 은행

p7.png

은행 지하의 대여 금고에 있는 문서, 미술품 등과 같은 귀중품에 대한 누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진에 의한 스프링클러 파손에 따른 2차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설비보호)

 

 

 

 

8. 병원

p8.png

병원에서는 수술, 투석용 설비 등 에서 대량으로 물을 사용하므로 단수에 대비하여 저수 탱크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저수 탱크의 누수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진에 의한 스프링클러 파손에 따른 2차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병원의 위기 관리)